영빈의 작은공간/약초정보

하수오의 효능

영빈테크 2012. 6. 22. 10:25

마디풀과에 속하는 덩굴성 다년생 초본식물.

내용

학명은 Pleuropterus multiflorus TURCZ.이다. 중국에서 들어와 오랫동안 재배되어온 약용식물로, 전체에 털이 없고, 뿌리는 땅 속으로 뻗으면서 때때로 둥근 덩이뿌리를 형성한다.

잎은 어긋나고 자루가 있으며 길이 3∼6㎝, 너비 2.5∼4.5㎝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심장형인 난상심장형을 하고 있다. 꽃은 8∼9월에 백색으로 피며 가지 끝에 원추화서를 이룬다. 과실은 수과(瘦果: 볍씨와 같이 과피가 목질 또는 혁질을 이루고 속에 1개의 씨가 들어있는 열매)이다.

 

한방에서는 덩이뿌리를 약재로 사용한다. 약성은 온(溫)하고 감고(甘苦)하며 조삽(燥澁: 파슬파슬함)하다. 강장·강정·양혈(養血)·보간·거풍·소종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체허약·요통·동맥경화·양위(陽痿)·고혈압·만성간염·결핵성임파선염·장염·옹종(癰腫)·변비 등의 증상에 치료제로 쓴다.

 

성분은 질소 1.1%, 전분 45.2%, 지방 3.1%, 광물 4.5%, 레시틴 3.7%, 수용성 물질 26.4%로 구성되어 있다. 한방에서 백하수오라 불리는 약재는 박주가리과에 속하는 큰조롱이라는 식물로, 하수오와 식물학적으로 다른 식물이다.

 

 

하수오

 

 

 

백하수오는 박주가리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은조롱이라는 별칭도 있습니다.

박주가리과에 속하기는 하지만 박주가리와는 다릅니다.

 

 

적하수오는 여뀌과의 식물로서 붉은조롱이란 별칭이 있습니다.

백하수오와 적하수오는 생물일 때는 발효를 하여 복용하기도 하며,

말려서 탕제에 다른 약재와 함께 처방하여 쓰기도 하고,

분말로 만들어서 그냥 복용하거나 아니면

환제로 만들어 복용하기도 합니다.

 

 

 

하수오의 효능 및 복용방법

 

하수오[]

하수오는 옛날부터 산삼과 견줄 만한 영약으로

하수오를 먹고 신선이 되어 하늘로 올라갔다거나

수백년을 살았다는 얘기가 여럿 전해져 왔습니다.
한방에서는 몸속에 흐르는 피의 여유분이 화하여 머리카락이 되는 것이라고 하기 때문에

간에 피가 충만하면 머리카락이 빠지지 않고 잘 자라며,
신의 정이 충분하면 머리카락의 색이 검어진다고 합니다.
하수오는 주로 허약한 체질에 신장과 간을 보해주는 약으로 쓰이며

하수오를 그대로 쓰면 보하는 효능이 약하므로 술로 법제하여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특히 소음인 체질에 적합한 약재입니다.


 

 

 

 

 

 

[하수오 효능]

 

1. 원기회복과 장수약재
동의보감에서 “원기회복(정력)에 좋아 오랫동안 먹으면

흰머리가 검게 되고 백 삼십 살까지 장수 한다”고 할 정도로 그 효능이 뛰어납니다.

 

2. 빈혈, 신경쇠약, 만성질환 등 치료
순환기 계통의 질병이나 혈액순환 장애로 피가 정체되어 뭉친 것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어 빈혈, 신경쇠약, 만성질환 등을 치료할 때 많이 사용합니다.

 

3. 신장과 간의 기능강화
동의보감에서는 모발은 신장의 기능에 영향을 받으며,

혈액의 영양상태를 나타낸다고 했습니다.

두피의 혈액상태가 좋으면 모발이 윤택하고 그 반대현상이면 탈모가 됩니다.

하수오가 주로 효과를 내는 것은 간목과 신수의 강화입니다.

따라서 신수가 약해 생기는 탈모에 잘 듣습니다.

또한 간기능을 항진시켜 피로를 적게 하고 피부를 윤택하게 해줍니다.

 

4. 강심작용, 동맥경화증, 고혈압과 변비예방
사람의 중추신경 속에 많이 분포하는 레시틴이라는 성분이 있어

강심작용으로 심장의 쇠약을 방지하며,

콜레스테롤을 감소시켜 동맥경화증을 예방하며,

부작용 없이 혈압을 낮춰줍니다.

또한 장의 연동운동을 촉진시켜 변비를 제거합니다.

 

5. 조혈·순환작용 촉진
조혈과 순환작용을 촉진시켜 신경통, 고지혈증에 효과가 있고

빈혈과 불면증, 대하증을 치료합니다.

 

6. 인삼대용품
인삼이 맞지 않는 사람에게는 인삼대용으로 쓰이기도 하고,

각종 성인병에 대추와 은행을 함께 쓰면 하수오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7. 임신중 복통·출혈, 유산방지, 태아안정

여성들의 생리불순을 치료하고 태아를 안정시키며,

임신으로 인한 복통 출혈에도 좋으며, 유산 방지에도 효과가 있다.

(월경량이 많거나 날짜가 5일 이상 늦어지거나 색깔에 이상이 있을 때

숙지황, 생지황, 당귀, 황기 등과 같이 쓰면 좋으며,

유산을 막는 효과도 있어서 겨우살이, 토사자 등과 같이 쓰면

태아가 안정되고 임신으로 인한 복통이나 출혈에도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8. 체력 강화

허리와 무릎을 튼튼하게 하고 체력을 강하게 합니다.

오랜 병으로 몸이 약해졌을 때나 허리와 무릎에 힘이 없을 때,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플 때, 겨우살이, 두충, 속단 등과 같이 쓰면 좋습니다.

 

 

 

[하수오복용방법]

 

1. 하수오차로 드시는 방법


1) 하수오를 20~40g정도를 주전자 물 1~2리터에 넣습니다.

(양은 본인의 기호에 맞게 조절하시면 됩니다.)


2) 처음에는 센불로 했다가 끓기 시작하면 30분~1시간 정도 더 끓입니다.

(하수오를 쪼개지 않고 통째로 넣으실 경우 물을 좀 더 넉넉하게

부으시고, 오랫동안 끓이셔야 합니다.)


3) 식혀서 냉장고에 넣어두고 수시로 마시고, 기호에 따라서

꿀이나 죽염 등은 적당량 타서 드셔도 좋습니다.

 

 

2. 하수오주로 드시는 방법


1) 하수오 250g 정도를 소주 1.5~2리터에 넣고 밀봉합니다.

(도수가 높은 술로 담으면 오래 될 수록 명품 술이 됩니다.)


2) 3~6개월 이상 숙성시키는데, 시간이 오래 경과할 수록 좋은 술이 됩니다.
(하루 1~2회 정도 소주잔으로 한두잔씩 마십니다.)

 

3. 그 외 하수오 복용방법
* 하수오를 썰어서 꿀에 넣어 3개월 보관하셨다가 숫가락으로 떠서 드시면 됩니다.

* 하수오를 검은콩(서목태)과 같이 삶거나 쪄서 햇빛에 말린 후 사용하면 하수오만

먹었을때 생기는 부작용을 감소할 수 있다하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주의사항]


*파, 마늘, 무, 돼지피, 양의 피, 비늘없는 생선과 같이 복용하면 좋지 않습니다.
*전염병, 감염질환이 있을 경우에는 복용하지 않습니다.

 

 

하수오의 효능은 상호 유사한데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ㅇ 백하수오 : 간, 신을 보하고 혈(血)과 정을 보하며, 강장, 피로 회복 등의 기능에 의해

적응증은 허약 체질, 병후 회복, 빈혈, 허리와 무릎의 힘이 없는 증상, 불면,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세, 신경쇠약, 흰머리카락을 검게 할 때, 학질, 변비,

연주창, 염증, 치질, 폐결핵의 보약 등입니다.

적하수오와 달리 일시적인 자궁의 수축 기능이 있습니다.

 

ㅇ 적하수오 : 위와 같은 증상에 사용하며, 그 외에 당뇨병, 허리가 굽는 구루병,

콜레스테롤의 억제 등에 쓰입니다.

하수오를 복용하는 법은 같으며 위에 설명드린 대로입니다.

사용량은 1일 9 ~ 20g 선입니다.

 

 

 

 

하수오의 특징과 다룰 때의 주의 사항 :

 

ㅇ 백하수오 : 가을이나 봄에 덩이 뿌리를 채취하여 잘 씻은 후

겉껍질을 벗겨 버리고 햇볕에 잘 말려 보관해야 합니다.

크고 무거운 것이 약효가 좀 더 좋습니다.

 

ㅇ 적하수오 : 캐는 시기는 백하수오와 같으나 다른 점은 물에 씻은 후

햇볕에 혹은 증기에 쪄서 말린 후 보관합니다.

크고 무거우며 자른 면이 얼룩 무늬가 있는 것이 좋습니다.

보약으로 사용할 목적일 때는 검은콩 달인 물에 담가 불린 다음에 쪄서 말리는 게 좋습니다.

 

 

 

산정(山精)으로 불리는 신선의 약초 하수오

 

'영빈의 작은공간 > 약초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녹나무  (0) 2012.11.29
[스크랩] 녹나무  (0) 2012.11.20
[스크랩] 독계산주의 효능  (0) 2012.03.19
[스크랩] 송근봉의 효능  (0) 2012.02.13
[스크랩] 포포나무의 효능  (0) 2012.02.06